지하수토양환경-기술자료

토양환경기술사시험자료집 - 토양일반(16)

와우산 2011. 9. 6. 19:40


※ 토양유기물의 정의 및 역할

 

1. 토양유기물의 정의

      (1) 광의의 정의

              미생물 등 살아있는 생물, 동식물의 유체, 부식(Humus) 등

              토양중에 존재하는 모든 유기화합물

      (2) 협의의 정의

              1) 동식물의 유체가 분해되어 미생물체 또는 부식으로 변환된 토양 중의 유기물

              2)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현상에 주로 관여하는 부분은 부식질이므로 

                  좁은 의미에서  토양유기물은 부식질을 지칭한다.

 

      ⊙ 유기물의 함량은 주로 기후, 식생, 모재, 지형 등의 토양생성인자에 의하여 지배된다.

 

2. 토양유기물의 역할

      (1) 작물생산능력 증가  :  토양의 성질을 개량(토양개량제)하여 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준다.

      (2) 생물(작물, 미생물, 동식물)에 필요한 영양분(N, P 등)을 공급한다.

      (3) 많은 음전하를 보유하여 토양의 양이온교환용량(CEC)을 증가시킨다.

      (4) 점토토양에서 입단형성을 돕고, 안정성을 높여 통기성, 투수성을 증대시킨다.

      (5) 보수력 증대  :  유기물은 함수용량이 높다(자체중량의 3~5배)

      (6) 유기물은 비표면적과 흡착력이 커서 오염물질의 지하거동을 억제한다.

            (예)  낮은 분자량의 토양유기물(풀빅산)은 Al3+, Cd2+ 같은 중금속과 결합하여 

                    식물에 의한 흡수를 감소시키고, 토양내 이동성을 저하시킨다.

 

⊙ 토양유기물과 금속의 상호작용(SOM-Metal 반응)

      (1) 용해성 유기탄소(DOC)-금속이온 반응 

               DOC는 친환경적 토양세척용제로서 이용성의 검토가 가능하다.

      (2) 부유성 유기탄소(SOC)-금속이온 반응 

      (3) 바닥저질 유기탄소-금속이온 반응

      (4) 또한 토양유기물은 농약과 강한 친화성이 있으므로

           농약의 분해, 지속, 용탈, 휘발에 영향을 준다.

 

⊙ 유기질 토양이 장시간 물에 포화되는 경우(환원환경)에 발생하는 현상

      (1) 산소농도가 현격히 감소하여 탈질화에 의해 질소 등의 비료손실이 증가한다.

      (2) 토양콜로이드 입자간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토양구조가 붕괴된다.

      (3) Fe2+, Mn2+  등의 환원성 물질의 농도가 증가한다.

      (4) 박테리아의 활동에 의해 pE가 감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