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토양환경-기술자료

토양환경기술사시험자료집 - 토양일반(28)

와우산 2011. 9. 26. 20:06


※ 토양의 완충능력(완충용량, Buffering Capacity)

 

1. 정의

      토양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특성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질에 의한 

      급격한 변화에 대하여 토양이 가지는 저항하는 능력을 토양의 완충능력이라 하며, 

      토양은 PH 변화를 억제하는 능력과 오염에 대한 저항능력을 가지고 있다.

 

2. 종류

      (1) 오염에 대한 완충능력

             토양에 부하되는 오염물질은

                  1) 토양미생물에 의해 분해, 소멸되거나

                  2) 식물체내에 흡수되며

                  3) 강우 등에 의해 용탈되거나

                  4) 유기물과 토양입자 사이의 전기적결합 또는 화학결합에 의하여 흡착, 고정되거나

                  5) 토양중의 유해물질간의 화학결합에 의한 불용성 침전물을 형성(불용화)하여

             일정시간후에는 토양에서 없어진다.

      (2) PH 변화에 대한 완충능력

             토양중의 탄산염, 중탄산염, 인산염 같은 약산계와 점토나 교질복합체의 산성기에 의하여

             토양은 완충능을 가진다.

 

              Ca[콜로이드]  HCl(산)  =  H[콜로이드] CaCl2

              Ca[콜로이드] +  Na2CO3(알칼리)  =  Na[콜로이드] +  CaCO3

 

                                 H[콜로이드], Na[콜로이드]는 HCl, Na2CO3보다 해리도가 낮기 때문에

                                 PH 변화가 작다. 

 

3. 완충능 향상법

      (1) 사질토양을 점토질토양으로 객토

      (2) 토양에 유기물을 첨가하여 부식에 의한 CEC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