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토양환경-기술자료

토양환경기술사시험자료집 - 지하수일반/지하수오염 및 정화(23)

와우산 2012. 6. 18. 19:21


※ 일반적인 수질조사 항목

 

1. 수소이온활동도(Hydrogen Ion Activity, PH)

      (1) 수소전위, 수소이온농도

      (2) H2O(L) = 2H+ + OH-

      (3) [H+]×[OH-]= Kw,       PH = - log[H+]

      (4) 25℃,  Kw = 1.008×10-14 : 중성 [H+] = [OH-],  PH = 7  (1×10-7mol/L 수소이온 존재)

      (5) 대부분의 국내 지하수 : 6.0〈 PH〈 8.5

 

2. 비전기전도도(Specific Electrical Conductance)

      (1) 어떤 물질이 전류를 전도하는 능력.

      (2) 일반적으로 전기전도도는 단위길이와 단위면적을 가지는 물체의 전도도이다.

      (3) ASTM에서 물의 비전기전도도는 특정온도에서 1㎤ 입방체의 수용액 양단에서 

           측정한 저항의 역수다.

                    KA = S        

                      K = S/A       K : 비전도도(μS/㎝)

                                        A : 기울기( 0.55〈A〈 0.75,  매립침출수는 높은 A 값을 갖는다)

                                        S : 총용존고형물질(TDS, mg/L)

 

3. 알칼리도(Alkalinity)

      (1) 용액내 용질이 산과 반응하여 산을 중화시키는 능력.

      (2) 대부분의 자연수에 포함된 용존이산화탄소가 알칼리도의 주요인이다.

      (3) 이산화탄소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토양이나 불포화대의 대기가스,

           식물호흡, 유기물의 산에 의해 공급된다.

      (4) 일반적인 지하수의 PH 조건을 고려할때,

                                총알칼리도 = 탄산염활동도 + 중탄산염활동도

                                    Alkalinity = [HCO3-] +  2[CO32-] + [OH-] - [H+]

 

4. 산화-환원전위(Redox Potential)

      (1) 시스템내에서 참여화학종의 활동도가 1이 아닐때,

           산화-환원반응 평형상태에서 측정한 전위.

                   네른스트식  Eh =  E0 + RT/nF × ln[Oxidized]/[Reduced]

      (2) Eh는 Nernst식에 의해 참여화학종의 활동도와 표준전위에 관계된다.

      (3) Eh는 주어진 계의 산화 또는 환원환경의 정도를 지시하는 수치적 척도이다. 

 

5. 경도(Hardness)

      (1) 물의 비누소비능력.

      (2) 칼슘과 마그네슘의 합.

      (3) 탄산칼슘당 농도로 표시한다.            

 

 경도범위(mg/L of CaCO3)

           구분

                0~60

           Soft

               61~120

  Moderately Hard

              121~180

          Hard

              181 이상

       Very Hard